봉쇄, 아프리카돼지열병, 코로나19, 홍수 등 기후변화 등 4중고

[뉴스케이프 하태균 기자]

유엔 식량농업기구(FAO)는 북한이 보건 위기와 식량난이 겹친 ‘위기 속 위기’ 상황에 직면했다고 밝혔다.(사진 : 미국 NBCNews 캡처)마이크 폼페이오(Mike Pompeo)미국 국무방관의 코로나19(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 사태에 따른 북한 내부의 기아(굶주림) 가능성 발언은 국경 봉쇄에 따른 교역의 중단과 함께 더욱 더 어려워진 식량배급 사정 때문에 나온 것으로 전문가들은 분석했다. 

북한의 고질적, 만성적인 식량난과 지난해 발생한 아프리카 돼지 열병(ASF)도 어려움을 가중시키고 있는 것으로 내다봤다. 

폼페이오 장관은 미국의 보수 성향의 ‘폭스 뉴스(Fox News)’와의 인터뷰에서 “코로나19로 국경 봉쇄 조치를 취한 북한 내 기근 발생 가능성”을 언급했다. 

전문가들은 코로나19가 발생하자 초기에 국경 봉쇄조치를 취한 북한은 중국과의 교역이 사상 최저치를 나타내고, 따라서 장마당 등을 통한 물자 교류가 역시 최저상황을 보이고, 북한의 기업소들이 운영을 중단해 식량배급이 어려워지고 있어, 기근 현상에 직면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중국 해관총서 자료에 따르면, 올 들어 1년 가운데 1/3이 지났는데 식량 수입량이 봉쇄 조치 등으로 북한의 올해 곡물 부족량 추정치가 120만 톤인데, 코로나19 여파로 부족분을 수입에 의존해 채워야 하지만 상황이 그렇지 못하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중국해관총서 올 3월 북-중 무역 교역 액수는 총 1864만 7천 달러(약 227억 3,069만 3,000 원)으로 지난해 같은 달 대비 90% 이상이 감소했다. 북한은 이미 잘 알려진 대로 모든 교역의 약 90%를 중국에 의존하고 있다. 

특히 이 기간 중 북한이 중국에서 수입한 총액은 1803만 달러(약 219억 7,857만 원)로 18년 만에 처음으로 2천만 달러를 밑돌았다. 북한의 대중 수출은 겨우 61만 6천 달러(약 7억 5,090만 원)에 불과, 최저치를 기록했다. 

한국농촌진흥청 자료에 따르면, 북한은 또 지난 2018년 곡물 수확량은 최근 10년 이래로 가장 적은 수량을 보였으며, 2029년도 생산량 증가율도 2018년 대비 불과 2% 정도 그쳐, 만성적인 북한의 식량난을 보여주고 있다. 

설상가상으로 북한 주민 대부분이 부업으로 식량 구입에 도움이 되는 돼지를 키우는데 지난해 아프리카돼지열병(Africa Swine Fever)으로 인한 어려움에 코로나19까지 겹치면서 고통은 가중될 수밖에 없다는 판단이다. 

VOA보도에 따르면, 워싱턴의 민간단체인 ‘전미북한위원회’의 다니엘 워츠 국장은 “북한 당국의 국경봉쇄와 코로나 관련 검역이 식량 수송에 어려움을 초래하고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워츠 국장에 따르면, “전통적인 춘궁기인 초여름까지 중국으로부터의 수입 ‘병목 현상’이 계속되면, 북한 내 식량 부족 사태가 가중될 수 있다”면서 “코로나19 확산 방지 조치로 봄철 모내기 활동에 차질이 빚어져, 올해 말에 식량 부족 사태가 더욱 악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번 폼페이오 장관의 북한 식량 기근 관련 발언은 김정은 조선노동당 위원장의 신병 이상설과 무관한 것이 아니라는 지적도 나오고 있어 주목된다. 

미 조지타운대학의 윌리엄 브라운 교수(북한 전문가)는 “북한 내 농업개혁에 어려움이 생긴 게 분명하다”면서 “김정은 위원장에게 무슨 일이 생기거나 지금처럼 북한 정부가 매우 약한 것으로 보이면 개혁을 추진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한편, 유엔 식량농업기구(FAO)는 북한이 보건 위기와 식량난이 겹친 ‘위기 속 위기’ 상황에 직면했다고 밝혔다.

“2020년 북한의 필요와 우선순위”라는 제목의 FAO의 최근 보고서는 “장기간의 가뭄과 홍수, 태풍으로 북한 내 농작물 수확량과 식량 공급량이 줄고 있으며, 여기에 대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같은 국제 보건위기가 상황을 더욱 어렵게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뉴스케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