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통화정책 비교: 금융위기 vs 코로나19' 보고서 발표

▲(사진=연합뉴스)

[뉴스케이프 길나영 기자] 미국의 장기적인 금리 상승으로 국내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증가하면서 회복 중인 실물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은 25일 '한·미 통화정책 비교: 금융위기 vs 코로나19'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한경연에 따르면 미국의 장기금리 상승은 미국의 신용스프레드 및 기간프리미엄을 증대시켜 국내 금융시장은 물론, 실물경기에까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미국의 장기금리 상승은 궁극적으로 국내 장기금리 및 원-달러 환율, 위험프리미엄에 상승충격을 주게 되면서 금융시장의 변동성을 확대시키고, 이는 다시 외국인투자 등 해외자본 유출을 가속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승석 한경연 부연구위원은 "미국의 장기금리 상승이 국내 주요 금융지표를 자극해 금융시장의 변동성 확대가 발생하면, 외국인 주식 등 해외자본이 유출돼 증시하락과 같은 부정적 영향이 현실화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보고서는 또 '거시변수 분석'을 통해 미국의 장기금리 상승효과가 금융시장의 경로를 통해 실물시장으로 전이되면서, 국내 총생산과 투자 등 주요 거시 펀더멘탈 변수의 위축을 유발시킨다고 밝혔다.

이 부연구위원은 "미국 장기금리 상승이 금융시장을 통해 실물시장에까지 파급되면, 백신보급 등 호재에도 불구하고 꾸물거리고 있는 경기회복이 더욱 지연되는 결과를 낳을 수 있다"고 말했다.

보고서는 향후 한국의 통화정책이 기준금리 중심의 단기금리 타겟팅 정책에서 한걸음 더 나아가 장기금리의 안정화 관리를 위해 더 적극적으로 노력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 부연구위원은 "주가지수 급락 등 자산가격 하락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뿐만 아니라, 경제위기 과정에서 늘어난 각 경제주체의 자금조달비용에 대한 부담을 완화해 경기회복을 최대한으로 이끌어 내기 위해서라도 장기금리를 하향 안정화시켜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스케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