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케이프 박정원 기자] 금융감독원은 지난 6월 말 기준 금융권의 해외 부동산 대체투자 잔액이 56조3000억원으로 전 분기 대비 7000억원 감소했다고 20일 밝혔다.
금융권의 해외 부동산 투자는 여전히 상당한 규모를 유지하고 있지만 최근 해외 부동산 시장의 불확실성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권역별 투자 잔액을 살펴보면 보험사들이 31조2000억원(55.3%)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이어 은행 11조7000억원(20.7%), 증권 7조8000억원(13.8%), 상호금융 3조6000억원(6.4%), 여전 2조1000억원(3.6%), 저축은행 1000억원(0.2%) 순으로 나타났다.
투자 지역별로는 북미 지역 투자가 35조2000억원(62.5%)으로 압도적으로 많았다. 유럽 10조5000억원(18.6%), 아시아 3조 9000억원(7.0%), 기타 및 복수 지역 6조7000억원(11.9%) 등이 뒤를 이었다.
만기별 현황을 살펴보면 내년까지 만기가 돌아오는 규모는 4조6000억원(8.2%)이었다. 2026년까지가 18조2000억원(32.3%), 2028년까지가 14조8000억원(26.2%), 2030년까지가 5조8000억원(10.3%) 등으로 나타났다.
한편, 금융사가 투자한 단일 사업장 34조7000억원 중 2조6100억원(7.5%)에서 기한이익상실(EOD) 사유가 발생했다.
3월 말 대비 1천100억 원 증가한 수치이다. EOD는 이자·원금 미지급이나 담보 가치 부족 등에 따라 대출금을 만기 전에 회수하는 것을 의미한다. 복합시설과 오피스 투자에서 EOD가 주로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감원은 "국내 금융회사 투자 비중이 높은 오피스 시장을 중심으로 부동산 시장 개선이 지연되는 등 투자자산 부실화 및 손실 확대 가능성이 상존한다"고 평가하며 우려를 표했다.
다만, EOD가 발생했다고 해서 투자금 전액을 손실 보는 것은 아니며, 투자자 간 대출 조건 조정, 만기 연장 등으로 해결할 수 있고 자산 매각 시 배분 순위에 따라 투자금 일부 또는 전액을 회수할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 구직자 노리는 악성 앱 사기 기승… 금감원, 소비자경보 발령
- 은행 연체율 상승 추세…금감원, 취약 차주 중심 관리 강화
- 보험사기 근절 홍보 아이디어 공모전 수상자 선정
- 증권사, 3분기 순익 1조8102억…전년比 102%↑
- 지난달 주식 발행 규모 급감…대형 IPO 부재 영향
- 3분기 파생결합증권 발행 14조2천억원...원금 지급형 ELS 증가
- 금감원, 자본시장 선진화 지속 추진…내년 3월 공매도 재개
- OK금융, 대부업 완전 철수…새로운 성장 모색
- 은행 대출 연체율 상승... 중소기업·가계 부담 커져
- 금감원, 작년 공시의무 위반 130건 조치…중조치 급증
- 금융권 "부동산 투자는 해외도 어렵네"…부실 우려 2.6조
- 금융권 해외 부동산 부실 소폭 감소…작년말 2조5900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