곽규택 의원 "어차피 선택지는 하나라는 자만 때문"
고객 우대 프로그램 운영하는 LCC 4곳은 모두 공개
[뉴스케이프 전수영 기자]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합병 승인이 멀지 않은 가운데 항공 마일리지 피해가 없도록 하겠다던 정부의 약속이 제대로 지켜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지어 마일리지, 항공 요금과 관련해 기본 현황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12일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곽규택 국민의힘 의원이 국토교통부를 통해 국적 항공사를 대상으로 그동안 고객들이 적립한 항공 마일리지 수치와 보너스 항공권 등 마일리지 사용 현황을 받은 결과 저비용항공사(LCC)는 관련 정보를 공개했으나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은 영업기밀을 이유로 공개하지 않았다.
마일리지를 애써 모았으나 쓸 곳이 없다는 고객들의 지적에도 대형항공사는 공개를 거부하고 있지만 주무기관인 국토부는 손을 놓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 10개 항공사 중 마일리지, 스탬프 등 고객 우대 프로그램을 운영하지 않는 곳은 이스타항공, 티웨이항공, 에어서울, 에어로케이 등 4곳이고 고객우대 프로그램 현황을 공개한 항공사는 제주항공, 진에어, 에어부산, 에어프레미아 등 4곳이다. 영업기밀을 이유로 마일리지 현황을 공개하지 않은 항공사는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2곳이다.
곽 의원은 "승객들이 로열티를 가지고 이용하는 항공사는 대항항공, 아시아나항공 2개 항공사인데 이 두 곳만 관련 정보를 공개하지 않은 것으 배짱을 넘어 횡포이며 합병으로 사실상 대한항공 독점 체제임에도 영업기밀이라는 이해하기 어려운 이유로 누적·사용 마일리지는 공개하지 않은 것은 어차피 선택지는 하나라는 자만 때문"이라며 "대형항공사 2곳을 제외한 항공사에는 영업기밀이 없는 것이냐"며 반문했다.
곽 의원은 자료 공개 거부는 정부의 무관심과 항공사의 독점에 있다고 지적했다.
곽 의원은 "특히 최근에는 아시아나항공이 항공 마일리지 제도를 개편하며서 제휴 사용처도 대폭 줄이고 마일리지 전용 쇼핑몰에 있는 품목 대부분도 매진된 채로 방치해 국민으로부터 공분을 산 바 있는데 이러한 행위가 합병을 앞둔 항공사가 아닌 정상 항공사라면 불가능할 뿐 아니라 합병을 앞두고 고객들의 마일리지를 의도적으로 소멸시키기 위한 불공정 행위가 아닌지에 대한 강한 의심이 드는 상황"이라며 공정거래위원회 등 관련 기관에 모니터링을 요구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항공 마일리지 사용에 대한 고객들의 불만이 계속되면서 국토부는 '성수기 보너스 좌석 5% 이상 배정'을 항공사에 권고하고 있지만 이를 확인할 방법이 없어 사실상 '깜깜이' 상태로 운영되고 있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대한항공은 곽 의원실에 제출한 서면 답변을 통해 "매월 10% 이상 항공 마일리지로 이용할 수 있는 보너스 좌석을 운용하고 있다"고 했지만 국토부에서 이를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은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는다.
반면 제주항공이 운영 중인 리프레시포인트는 항공권 구매 제한 없이 100% 사용할 수 있도록 운영하고 있다.
곽 의원은 보너스 항공 좌석이 권고 비율대로 운영되고 있는지도 중요하지만 기간·요일·시간 등에 따라 수요 편차가 매우 큰 항공업 특성상 월 단위가 아닌 항공편마다 점검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고객들이 기피하거나 수요가 적은 항공편에 보너스 항공권으로 이용할 수 있는 좌석을 대량으로 편성하고 정작 필요로 하는 항공편에는 보너스 항공권 좌석을 편성하지 않아도 월 단위 권고 비율을 맞출 수 있기 때문이다.
국토부가 정기적으로 항공사를 대상으로 항공 마일리지 보너스 좌석 운영 현황을 점검하는 것이 유일한 방법이지만 국토부는 권고만 할 뿐 점검 실적은 전무하다.
특히 항공사 합병으로 양 사 마일리지가 통합됨에 따라 교환 비율에 대해 국민적 관심과 우려가 큰 상황에서 대통령까지 나서 마일리지 피해가 없도록 약속했지만 국토부는 기존 현황조차 파악하고 있지 않은 것은 심각한 문제로 볼 수 없다고 비판했다.
곽 의원은 "항공 마일리지·요금을 비롯해 LCC통합본사 문제까지 항공하 합병 과저에서 국민과 약속한 것들을 반드시 이행하는 것이 4년 넘는 시간 항공사 합병을 차분히 기다려온 국민에 대한 최소한의 도리"라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