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급부족에 희소성 부각 가격 상승세

서울 한강변 아파트 모습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서울 한강변 아파트 모습 (사진=게티이미지뱅크)

[뉴스케이프 박정원 기자] 최근 부동산 시장에서 대형 아파트의 가격 상승이 두드러지며 다른 면적대보다 높은 상승률을 기록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공급 부족에 따른 희소성 때문으로 분석했다.

18일 한국부동산원 월간 주택규모별 매매가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에서 전용면적 135㎡(약 50평) 초과 아파트의 가격은 전월 대비 0.42% 상승했다. 

이는 같은 기간 ▲40㎡ 이하(0.09%) ▲60㎡ 이하(0.17%) ▲60㎡ 초과∼85㎡ 이하(0.30%) ▲85㎡ 초과∼102㎡ 이하(0.36%) ▲102㎡ 초과∼135㎡ 이하(0.26%)를 앞지른다.

대형 아파트의 가격 오름세는 지난 몇 달간 이어지고 있다. 135㎡ 초과 면적은 9월과 10월에도 각각 1.11%와 0.78%의 상승률을 기록하며 여러 면적대 중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

‘국민평형’으로 불리는 85㎡ 초과∼102㎡ 이하 중형 아파트의 9월(0.97%)과 10월(0.59%) 상승률을 웃도는 모습이다.

서울뿐 아니라 전국적으로도 대형 아파트의 상승세는 뚜렷하다. 지난달 전국의 135㎡ 초과 아파트는 전달보다 0.11% 올라 모든 면적대 중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전문가들은 대형 아파트값이 상승한 주요 요인으로 공급 감소를 지목했다. 부동산 전문 리서치업체 리얼투데이의 조사에 따르면 2020년 1월부터 지난 11월까지 서울에서 분양된 일반공급 아파트 2만5,583가구 중 135㎡ 초과 물량은 단 183가구(0.72%)에 그쳤다.

희소성이 부각되며 강남권을 중심으로 대형 평형 아파트가 신고가를 경신하고 있다. 지난달 강남구 압구정동 신현대 11차 전용면적 183㎡는 86억 원에 거래되며 최고가를 경신했고 대치동 동부센트레빌 145㎡ 역시 49억9000만 원에 거래돼 역대 최고가를 기록했다.

저작권자 © 뉴스케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