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케이프 전수영 기자] 서울에서 집을 마련하려면 월급을 한 푼도 쓰지 않고 13년간 모아야 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국토교통부는 지난해 6~12월 전국 6만1000가구를 대상으로 실시한 '2023년도 주거실태조사 결과'를 27일 발표했다.
지난해 서울 자가 가구의 연 소득 대비 주택가격 배수(PIR)는 13배로 나타나 전국에서 가장 높았다. 월급을 전혀 쓰지 않고 모아야 13년 만에 집을 마련할 수 있음을 뜻한다.
세종시(8.7배), 경기도(7.4배), 대전(7.1배), 부산·대구(각각 6.7배)가 뒤를 이었다. 전국 평균 PIR은 6.3배였다.
수도권 PIR은 9.3배에서 8.5배로, 서울은 15.2배에서 13배로 하락했다. 이는 조사 시기 집값 하락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된다.
임차 가구의 월 소득 대비 임대료 비중(RIR)은 15.8%로 전년보다 0.2%p 감소했지만 서울은 22.7%로 가장 높았다.
자가 보유율은 전국 평균 60.7%로 전년보다 0.6%p 줄었으며, 자가점유율도 57.4%로 0.1%p 하락했다.
국민 40.6%가 주거 지원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답했으며 '주택구입자금 대출 지원'(35.6%)과 '전세자금 대출 지원'(24.6%)이 주요 요구사항으로 꼽혔다.
청년 가구의 81.1%는 전월세 주택에 거주하고, 신혼부부의 46.4%는 자가에 거주했다. 고령 가구는 75.7%가 자기 집에 머물고 있었다. 국토부는 이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국민 체감형 주거 정책을 강화할 계획이다.
관련기사
- 국토부, 도시재생 씨앗융자 개편…주택 복합 사업 허용
- 연 소득 2억원 맞벌이 부부 신생아 특례대출 가능
- 국토부, 새만금 외국인 투자 문턱 낮춰 글로벌 투자 유치
- '주거취약계층 외면' LH, 노후 영구임대주택 개선 일부 예산 집행률 1%대
- 대출 규제 강화 거래량 급감…부동산 시장 침체 심화
- 악성 임대인 1177명…떼먹은 전세금 1조9천억원
- 해외건설 누적 수주액 1조 달러 돌파…59년 만에 이룬 쾌거
- 대출 급증에 주택구입 금융부담 하락세 2년만에 제동
- 역세권 고밀 복합개발 본격화…철도지하화통합개발법 시행
- 악성 미분양 11년 3개월 만에 최대...건설업계 위기 심화
- 전국 빈집 153만 가구 시대…전체 주택의 7.9% 차지
- 국토부, 청년·신혼부부·신생아 가구 매입임대주택 입주자 모집
전수영 기자
jun6182@newscape.co.kr

